본문 바로가기
알려 주다 (정보 소개)/정치를 말하다

공수처, '윤석열 전 검찰총장 고발 사주' 관련 국민의힘 김웅 의원 사무실 압수수색

by Daniel Notes 2021. 9. 10.
728x90
반응형
728x170

출처 : 유튜브 'MBC 뉴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드디어 나섰다. 공수처 수사3(부장검사 최석규) 소속 허윤 검사 6명은 9월 10일 오전 윤석열 전 검찰총장 고발 사주와 관련하여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내 국민의힘 김웅 국회의원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이고 있다.

 

앞서 지난 6 시민단체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사세행)은 이 의혹과 관련해 총장과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이던 손준성 대구고검 인권보호관, 한동훈 사법연수원 부원장, 권순정 부산지검 서부지청장 ( 대검 대변인) 4명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와 공무상비밀누설 등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한 바 있다. 공수처는 고발장 접수 이틀만에 김한메 사세행 대표를 불러 고발인조사를 진행했고, 나흘만에 압수수색을 단행해 강제수사에 나서는  신속하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 9월 9일 김 의원은 기자회견을 자청해서 열었으나 본인은 열린민주당 최강욱 대표에 대한 고발장을 쓰지 않았고 관련 자료를 누구한테 받았는지 기억나지 않는다고 해 국민들에게 지탄을 받고 있다. '기억나지 않는다'는 발언은 앞으로 있을 법적인 책임에 대응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한편 손 전 대검 수사정보정책관 역시 본인은 고발장을 작성하지 않았다고 언론에 밝히면서도 김 의원에게 전달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는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 이는 본인은 작성하지 않았지만 누군가가 작성한 것을 김 의원에게 전달한 것은 인정하는 셈이다.    

 

9월 8일 제보자와 인터뷰를 한 JTBC 뉴스에 따르면 제보자는 김 의원한테 고발장을 받았고 이를 대검에 제출하라는 김 의원의 지시가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제보자는 이를 미래통합당, 현 국민의힘에는 제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MBC 보도에 따르면 고발장 초안을 지난해 8 미래통합당 당무감사실로 전달한 사람은 당시 법률자문위원장이던 정점식 의원으로 드러났다. 의원은 MBC와의 통화에서 "보좌관이 당시 고발장 초안을 가져와 검토해달라고 보고했고, 검토 최강욱 의원에 대한 고발 필요성을 느껴 당무감사실장에게 초안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검사가 보낸 걸로 의심되는 고발장과 거의 흡사한 고발장 초안이 정점식 의원실을 통해 당에 전달됐고, 당에서 법률자문위 소속 변호사에게 다시 전달해 실제 고발로 이어진 정황이 추가로 드러난 것이다.  초안은 '고발장-최아무개-최종'이라는 이름의 한글 문서로 작성됐고 작성 날짜는 지난해 4 22, 마지막 수정일은 지난해 5 11일로 되어 있다.  의원이 지난해 4 8 당에 전달한 걸로 추정되는 '손준성 보냄' 고발장이 불과 2주만에 국회 컴퓨터를 이용해 고발장 초안으로 재가공된 것이다. 하지만 정점식 의원은 문제가 고발장 초안의 출처는 자신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다른 당의 대표를 고발하는 수백 페이지 고발장을 누구한테 받았는지 내용을 확인도 하지 않고 전달한 정 의원의 말을 상식적으로 믿기 힘들다.

 

이를 통해 우리는 3장의 고발장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4월 8일 김 의원이 당에 전달한 '손준성 보냄' 고발장, 정 의원이 당무감사실장에 전달한 고발장 초안 그리고 실제로 열린민주당 최강욱 대표에 대한 실제 고발장. 이 3개의 고발장은 일부 단어를 제외하고 모든 내용이 흡사 혹은 동일하다. 최강욱 대표의 주민번호가 틀린 것도 똑같다. 검찰과 국민의힘이 함께 이러한 고발을 했다는 정황이 상식적으로 보인다. 공수처의 이번 국민의힘 김웅 의원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그 진실을 명명백백하게 밝혀지기를 희망한다.  이 사건은 단순히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고발 사주'가 아니라 '검찰의 쿠데타' 사건이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